▲ 박유철 광복회장.
조국광복의 환희와 기쁨을 누린 지 올해로 벌써 예순 아홉 해를 맞는다. 광복의 기쁨은 거저 얻어진 게 아니다. 광복은 장장 50년(1895~1945)에 걸친 선열들의 피눈물 나는 항일 독립투쟁의 결과라는 점, 잊어서는 안 된다.

돌이켜보면, 해방정국에서의 국제사회적 흐름은 우리 민족이 뜻하는 대로 되지 않았다. 나라의 토대가 제대로 세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맞닥뜨린 세계적 이념 대립은 고스란히 한반도에 유입되었다. 그런 와중에 국토분단이라는 전대미문의 비극과 함께 급기야 동족 간에 6·25전쟁까지 치러야 했다.

발전한 복지와 민주주의의 대한민국. 세계가 놀라는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념과 지역, 계층의 갈등 등을 해소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당연히 그것은 지난날 국민정신을 하나로 묶었던 광복의 진정한 뜻을 제대로 잇지 못한 탓이다. 일각에서는 아직도 강대국의 논리에 빠져 연합군 앞에 일본의 무조건적 항복으로 ‘거저 얻어진 것’이라느니, ‘도둑처럼 왔다’느니 하며 광복과 독립운동의 민족사적 의의를 깎아내리는 경우마저 남아 있다.

이는 피어린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를 비하하는 것은 물론, 독립운동가들의 노력과 고난의 가치를 폄하하는 잘못된 역사관이다.

1945년 8월 15일 조국 광복은 독립운동 선열들이 끊임없이 전개한 항일 독립운동과 미국 중국 등 연합군의 지원으로 얻어진 자랑스러운 한민족의 자산이다.

독립 국가를 건설하려는 선열들의 꾸준한 투쟁과 노력이 없었다면 연합군은 결코 도움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우리의 광복절은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패전일이다. 일본은 패전 1년 후인 1946년 11월 3일 전쟁포기와 전력 불보유, 교전권 부인 등을 명시한 일본국헌법,이른바 ‘평화헌법’을 미군정하에서 공포하고, 국제사회를 향해 영구한 평화수호를 약속했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아베정부는 국제사회는 물론, 자국민의 열망을 무시한 채 평화헌법의 입법취지를 유린하고 또다시 군사대국화를 획책하고 있다.

이로 인해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래 선린우호적인 한일 양국의 관계는 파탄일로를 걷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히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 광복절을 맞이하는 우리 국민은 일본의 우경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국권상실의 비극으로까지 이어졌던 120년 전 갑오년의 교훈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 국민 각자가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한민족이 하나 되는 평화통일의 환희를 누릴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통일이 되어야 진정한 광복이 된다’는 우리시대의 화두를 우리 손으로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아직도 우리 사회 곳곳에 잔존하고 있는 식민잔재를 하루빨리 청산해 우리 민족의 혼이 깃든 역사관을 정립하고, 이를 통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북한을 수용하고 통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다행스러운 것은, 북한에서도 광복절을 국경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광복절은 유일하게 남북한 정부 모두가 국가기념일로 삼고 경축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광복절을 중심으로 하는 항일 민족정신은 우리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광복 69년을 맞이하는 오늘 우리 국민과 한민족은 분열과 대결을 내려놓아야 한다.

이렇게 하나 되는 공동체를 만들어 평화통일 위한 기반을 다지고, 이를 민족 상생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최근 신문 PDF보기 ◆
 

저작권자 © 나라사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